변수의 이해
1. 변수와 메모리
-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사용된다.
- 변수에 값이 저장되는 공간을 메모리라고 한다.
-변수에 값을 넣으라고 선언하는 순간, 물리적으로 메모리 어딘가에 물리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
운영체제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협력하여 메모리 저장 위치를 할당한다. 이 위치를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.
* 컴퓨터의 구조 : 폰 노이만 아키텍처
2. 메모리 공간
- 하나의 변수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, 그 변수의 크기만큼 공간을 할당받는다.
- 이진수 한 자리를 비트(bit), 8bit는 1바이트(byte), 1024바이트는 1킬로바이트(KB), ...
기본 자료형
- 정수형(integer
type) : 자연수를 포함해 값의 영역이 정수로 한정된 값.
- 실수형(floating-point
type) : 소수점이 포함된 값.
- 문자형(string
type) : 값이 문자로 출력되는 자료형.
- 불린형(boolean
type) : 논리형으로,
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을 표현할 때 사용.
*동적타이핑이란??
3. 자료형 변환
- float( ) 함수 :
정수를 실수형으로 변환해 주는 함수.
- int( ) 함수
:
실수형을
정수형으로
변환해 주는 함수.
•str( ) 함수
:
기존의 정수형이나 실수형을 문자열로 바꿔 준다. 문자형 간의 덧셈은 숫자 연산이 아닌 단순 붙이기(concatenate)가 일어난다.
•type( ) 함수 :
자료형을
확인할 수 있는 함수.
*자료형을 선언하는것이 아닌 함수를 사용하는것!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문자열 (0) | 2019.03.25 |
---|---|
4. 조건문과 반복문 (0) | 2019.03.18 |
3. 화면 입출력과 리스트 (0) | 2019.03.14 |
1. Python 소개 (0) | 2019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