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SQL (DML 명령어) - INSERT, UPDATE, DELECT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RDB) - 각 테이블은 행(row)와 열(column)으로 구성 - 각 컬럼들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받아야한다. - table에 대한 조작 및 검색을 SQL을 이용해서 수행한다. → 테이블간의 관계를 맺는다 SQL 명령어의 기본부류 - RETRIEVE(Query) 명령어 - SELECT :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. - DML 명령어 - INSERT, UPDATE, DELECT :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이다. - DDL 명령어 - CREATE, ALTER, DROP .. : 데이터 구조에 관한 명령어이다. DML - 데이터 조작 명령어 INSERT : 테이블에 새로운 행 삽입INSERT INTO 테이블명(컬럼1, 컬럼2, ...) VALUES(값1, 값2, ...);*모든 테이블..
더보기
-
오라클 다른 사용자 추가/ 권한 부여
오라클 다른 사용자 추가하기 , 다른 사용자에게 권한 부여하기 현재는 다른 사용자에 추가할 student(user) 가 없는 상태2. 시작> oracle database 11g Express.. > Start Database 클릭 후sql플러스 실행 , 로그인(SQL Developer에서 system계정 접속 후 쿼리를 작성해도 된다.) 사용자계정(다른사용자) 생성= CREATE USER STUDENT(생성할 사용자명) IDENTIFIED BY 1234(사용할 비밀번호); 사용자 권한 부여= GRANT CONNECT, RESOURCE TO STUDENT(권한 부여할 사용자명) ① crate user student identified by 1234; 계정명 : student 비밀번호 :1234 로 계정만들..
더보기
-
JDBC - JDBC란?
JDBC- Java Database Connectivity- 자바에서 DB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API ==>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상관없다. JDBC API 사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성 - JDBC 드라이버 : 각 DBMS에 알맞는 클라이언트 JDBC 프로그래밍 코딩 흐름 1) JDBC 드라이버 로드2) DB 연결 3) DB에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(SQL문)4) DB 연결 종료 JDBC 드라이버- DBMS와 통신을 담당하는 자바 클래스- DMBS 별로 알맞은 JDBC 드라이버 필요 (jar)- 로딩코드 : Class.forName(“JDBC드라이버 이름”);• MySQL : com.mysql.jdbc.Driver• 오라클 : oracle.jdbc.driver.OracleDriver• MSS..
더보기
-
DDL명령어 - 데이터 구조 변경
DDL 명령어 : 데이터 구조를 변경- CREATE TABLE :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- DROP TABLE : 테이블 구조 및 모든 행 삭제- ALTER TABLE : 기존 테이블 변경(컬럼 추가, 수정, 제약조건 추가,삭제,활성화,비활성화)- TRUNCATE : 테이블의 구조는 남기고 모든 행 삭제- RENAME : OBJECT의 이름을 변경- COMMENT : 테이블 또는 컬럼에 주석달기 DDL 명령어의 특징▶ RollBack할 수 없다. (실행시 자동 COMMIT)▶DML은 데이터를 조작(DELECT), DDL은 데이터 구조를 변경(DROP)하는 것이다.→ DML에서 데이터(값)만 조작가능, DDL에서 구조변경가능 DROP TALBE : 테이블 삭제DROP TABLE 테이블명 [CASCADE CO..
더보기
-
3. 화면 입출력과 리스트
1. 화면 입출력 표준 입력 함수input() 함수 : 표준 입력 함수, 사용자가 문자열을 콘솔 창에 입력할 수 있게 해 준다. 표준 출력 함수print() 함수 : 표준 출력함수, 결과를 화면에 출력2. 리스트의 이해리스트(list) :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할당하는 자료형이다.-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처럼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할당하는 기법을 시퀀스 자료형이라고 한다.- 리스트는 하나의 자료형으로만 저장하지않고, 정수형이나 실수형 같은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할 수 있다.*시퀀스 자료형 : 여러 자료를 순서대로 넣는다는 뜻인덱싱(indexing) : 리스트에 있는 값에 접근하기 위해, 이 값의 상대적인 주소를 사용하는 것 슬라이싱(slicing) : 리스트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전체 리스트에서 일부를..
더보기